초기 스타트업 가이드
시니어 마케터 없으니, 우선 우리끼리 해본다.
시니어 마케터 없으니,
우선 우리끼리 해본다.
뚝뚝 끊기는 홈페이지라면
이렇게 고쳐보세요.
뚝뚝 끊기는 홈페이지라면
이렇게 고쳐보세요.


3. 뭐부터 말할까?
3. 뭐부터 말할까?
쓱 읽어봐도 설득이 되도록
쓱 읽어봐도 설득이 되도록
'흐름'을 정리해보기
'흐름'을 정리해보기
대부분의 방문자들은
그냥 쭉 스크롤하며 홈페이지를 훑어봅니다.
그래서 홈페이지나 랜딩페이지는
대충봐도 '잘 읽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해요.
대부분의 방문자들은
그냥 쭉 스크롤하며 홈페이지를 훑어봅니다.
그래서 홈페이지나 랜딩페이지는
대충봐도 '잘 읽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해요.
쓱 읽어봐도 '잘 읽히는'
B2B 홈페이지를 위한 3가지 요소
쓱 읽어봐도 '잘 읽히는'
B2B 홈페이지를 위한 3가지 요소
1) 순서
1) 순서
✔️ 더 읽어보고 싶은 순서로 설계하기
✔️ 더 읽어보고 싶은 순서로 설계하기
'히어로 섹션(hero section)'이라고 불리는 홈페이지의 대문.
처음 방문한 잠재 고객을 맞이하는 곳이니, 강력한 임팩트로 관심을 끄는 것이 관건이에요.
'히어로 섹션(hero section)'이라고 불리는 홈페이지의 대문. 처음 방문한 잠재 고객을 맞이하는 곳이니, 강력한 임팩트로 관심을 끄는 것이 관건이에요.

1) 소위 '후킹(hooking)한 메시지'를 먼저 넣고
2) 아래 내용을 계속 읽어보고 싶도록 (즉, '더 알아보고 싶도록') 만들기
1) 소위 '후킹(hooking)한 메시지'를 먼저 넣고
2) 아래 내용을 계속 읽어보고 싶도록 (즉, '더 알아보고 싶도록') 만들기
*잠재 고객의 관심을 끌 메시지를 찾으려면
읽어볼 글 👉 무엇을 강조할지 정하기
*잠재 고객의 관심을 끌 메시지를 찾으려면
읽어볼 글 👉 무엇을 강조할지 정하기
잠재 고객의 관심을 끌 포인트를 정했다면, 이제 홈페이지 나머지 부분을 통해 그 관심을 고조시켜야 합니다.
무슨 내용부터 말하고 어떻게 이어갈지 결정할 때 중요한 것은, 고객이 스크롤 하며 홈페이지를 둘러볼 때 (크게 노력이나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도) 우리 제품의 강점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기억해야 한다는 것이에요.
잠재 고객의 관심을 끌 포인트를 정했다면, 이제 홈페이지 나머지 부분을 통해 그 관심을 고조시켜야 합니다.
무슨 내용부터 말하고 어떻게 이어갈지 결정할 때 중요한 것은, 고객이 스크롤 하며 홈페이지를 둘러볼 때 (크게 노력이나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도) 우리 제품의 강점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기억해야 한다는 것이에요.
How-to
✅ 많은 B2B SaaS 홈페이지에서 놓치는 부분
현재 홈페이지 대문에 가장 크게 걸어둔 메시지(테그라인/슬로건)와
아래 내용이 이어지는지 확인해 보세요.
예를 들면, '매출을 올려주는 세일즈 툴'이라고 말했다면
어떻게 매출을 올려주는지 우리의 솔루션을 연결시켜
홈페이지 전반에 녹여내야 합니다.
✅ 많은 B2B SaaS 홈페이지에서 놓치는 부분
현재 홈페이지 대문에 가장 크게 걸어둔 메시지(테그라인/슬로건)와
아래 내용이 이어지는지 확인해 보세요.
예를 들면, '매출을 올려주는 세일즈 툴'이라고 말했다면
어떻게 매출을 올려주는지 우리의 솔루션을 연결시켜
홈페이지 전반에 녹여내야 합니다.
2) 헤딩, 섭헤딩, 텍스트의 위계 구조
2) 헤딩, 섭헤딩, 텍스트의
위계 구조
✔️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쪼개고
어디를 강조하는가에 따라 가독성이 달라져요.
✔️ 같은 말이라도 어떻게 쪼개고
어디를 강조하는가에 따라 가독성이 달라져요.
내용의 위계를 잘 구성하면 메시지가 쉽게 전달됩니다.
내용의 위계를 잘 구성하면 메시지가 쉽게 전달됩니다.

글자 크기와 굵기를 이용해 가독성 높이기
글자 크기와 굵기를 이용해 가독성 높이기
헤딩 (큰 제목): 제품의 핵심 기능이나 고객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효용을 간결하고 읽기 쉽게 작성하세요.
섭헤딩 (작은 제목): 헤딩에서 핵심만 간결하게 표현했다면, 섭헤딩으로 효용을 설명하는 문장을 쓸 수도 있습니다. (불필요하면 생략!)
본문 텍스트: 헤딩과 섭헤딩에서 설명한 내용을 더 자세히 풀어내세요. 위에서 강조한 내용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읽었을 때 '이거 좋네'라는 인상이 확고해 지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헤딩 (큰 제목): 제품의 핵심 기능이나 고객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효용을 간결하고 읽기 쉽게 작성하세요.
섭헤딩 (작은 제목): 헤딩에서 핵심만 간결하게 표현했다면, 섭헤딩으로 효용을 설명하는 문장을 쓸 수도 있습니다. (불필요하면 생략!)
본문 텍스트: 헤딩과 섭헤딩에서 설명한 내용을 더 자세히 풀어내세요. 위에서 강조한 내용에 관심을 가진 사람이 읽었을 때 '이거 좋네'라는 인상이 확고해 지도록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여기서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팁.
✅ 되도록 간결하게 써보세요.
길게 풀어 쓸 수 밖에 없다면 쉽게 써야 합니다. 장황한 말을 한다고 임팩트가 커지는 건 아니니까요. 불필요한 텍스트는 오히려 홈페이지 방문자의 이탈율만 높입니다.
✅ 헤딩/섭헤딩/텍스트의 구분을 명확히 하기
어디부터 읽어야 할지 혼란스럽다면, 콘텐츠 자체가 매력을 잃습니다. 유용한 정보로 채운 홈페이지, 되도록 읽기 쉽게 만들어 정보 전달력을 높여보세요.
여기서 간단하지만 효과적인 팁.
✅ 되도록 간결하게 써보세요.
길게 풀어 쓸 수 밖에 없다면 쉽게 써야 합니다. 장황한 말을 한다고 임팩트가 커지는 건 아니니까요. 불필요한 텍스트는 오히려 홈페이지 방문자의 이탈율만 높입니다.
✅ 헤딩/섭헤딩/텍스트의 구분을 명확히 하기
어디부터 읽어야 할지 혼란스럽다면, 콘텐츠 자체가 매력을 잃습니다. 유용한 정보로 채운 홈페이지, 되도록 읽기 쉽게 만들어 정보 전달력을 높여보세요.
3) 시각적인 구조
3) 시각적인 구조
✔️ 단순히 깔끔하고 예쁜 것이 다가 아니에요.
✔️ 단순히 깔끔하고 예쁜 것이 다가 아니에요.
요즘은 무료 템플릿으로 세련된 홈페이지를 만들기가 쉬워졌습니다.
하지만 그냥 정해진 틀에 빈칸을 채워 넣기만 한다면, 보기만 좋을 뿐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어요.
요즘은 무료 템플릿으로 세련된 홈페이지를 만들기가 쉬워졌습니다.
하지만 그냥 정해진 틀에 빈칸을 채워 넣기만 한다면, 보기만 좋을 뿐 우리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어요.

잘 읽히는 구조로 배치하기
잘 읽히는 구조로 배치하기
내용에 따라 가로/세로 배치를 고민해 보세요. 배치 방법을 바꾸면 가독성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요.
텍스트 폭(한 줄에 넣는 글자 수)를 조절하면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은 글자가 한 줄로 이어져 있으면 읽기를 포기하게 되죠.
강조할 부분(만) 강조하기. 특별히 강조하고 싶은 단어나 문구는 굵은 글씨 등으로 강조하되, 우선순위를 정해 꼭 필요한 부분만 강조합니다.
내용에 따라 가로/세로 배치를 고민해 보세요. 배치 방법을 바꾸면 가독성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어요.
텍스트 폭(한 줄에 넣는 글자 수)를 조절하면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너무 많은 글자가 한 줄로 이어져 있으면 읽기를 포기하게 되죠.
강조할 부분(만) 강조하기. 특별히 강조하고 싶은 단어나 문구는 굵은 글씨 등으로 강조하되, 우선순위를 정해 꼭 필요한 부분만 강조합니다.
사실 B2B 홈페이지는 그림 하나 없이 흑백으로 글씨만 채운다 해도 더 많은 사람들이 내용을 집중해 읽고 우리 고객으로 만들 수만 있다면 디자인은 잠시 접어두어도 괜찮습니다.
결국 B2B 홈페이지는 다른 무엇보다 잠재 고객이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그로 인해 우리 제품을 왜 써야 할지에 대해 '설득'이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니까요.
사실 B2B 홈페이지는 그림 하나 없이 흑백으로 글씨만 채운다 해도 더 많은 사람들이 내용을 집중해 읽고 우리 고객으로 만들 수만 있다면 디자인은 잠시 접어두어도 괜찮습니다.
결국 B2B 홈페이지는 다른 무엇보다 잠재 고객이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그로 인해 우리 제품을 왜 써야 할지에 대해 '설득'이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니까요.
중요한 건,
사용자가 스크롤을 멈추고 계속 읽도록
쉽게 읽히고 설득력 있는 흐름을 설계해야 한다는 것.
중요한 건,
사용자가 스크롤을 멈추고 계속 읽도록
쉽게 읽히고 설득력 있는 흐름을 설계해야 한다는 것.


B2C는 감성적인 요소를 활용해 상품을 판매하지만,
B2B는 이성적인 판단을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래서 B2B 마케팅을 위한 홈페이지는
읽는 사람이 제품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도록
흥미로우면서도 설득력있는 흐름을 만들어야 해요.
B2C는 감성적인 요소를 활용해 상품을 판매하지만,
B2B는 이성적인 판단을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래서 B2B 마케팅을 위한 홈페이지는
읽는 사람이 제품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도록
흥미로우면서도 설득력있는 흐름을 만들어야 해요.
홈페이지 들어온 잠재고객이
우리 제품 더 알아보고 싶게 만드는
홈페이지
직접 만들어보고 어렵다면? 같이 해봐요.
홈페이지 들어온 잠재고객이
우리 제품 더 알아보고
싶게 만드는 홈페이지
직접 만들어보고 어렵다면?
같이 해봐요.

B2B 마케팅 & 스토리텔링을 연구합니다.
Useful Links
B2B 마케팅 이야기
Coming soon
(c) All Rights Reserved by B2B Story Lab 2024

B2B 마케팅 & 스토리텔링을
연구합니다.
Contact
링크드인
jin@b2bstorylab.com
(c) All Rights Reserved by B2B Story Lab 2024